자생수목의 탄소흡수 효과와 중요성

드넓은 자연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아름답게 자생하는 나무들. 이들이 우리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잊지 말고 싶습니다. 최근 기쁜 소식으로,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 이산화탄소 흡수에 뛰어난 자생수목 10종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오는 4월 5일 식목일에 맞춘 발표로, 파트너로서 자연을 더욱 소중히 여기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자생수목 선정 과정

국립공원공단은 2023년부터 국립공원 소속 자생식물들의 연평균 탄소흡수량을 조사해왔습니다. 이번 발표는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등 14개 국립공원에서 전체 84종의 식물에 대한 탄소흡수량을 평가한 결과입니다. 분석을 통해 선정된 자생수목 10종은 상수리나무, 물박달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들메나무, 갈참나무, 곰솔, 떡갈나무, 가래나무, 굴참나무입니다.

뛰어난 탄소흡수 효과

이번에 발표된 10종의 자생수목들은 평균적으로 연간 15.36kg에서 30.12kg에 이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상수리나무는 1그루당 30.12kg-CO₂로 가장 높은 탄소흡수량을 기록하였고, 그 뒤를 물박달나무가 21.51kg-CO₂로 이어갑니다. 반면, 굴참나무가 10종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흡수량인 15.36kg-CO₂를 보였죠.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보호에 기여

이러한 자생수목들은 단순히 탄소 흡수에 그치지 않고, 생태계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호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환경에서 자생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으며, 나무들이 모여 조화롭게 자라면서 환경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향후 계획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앞으로 모든 국립공원에서 자생식물별 탄소흡수량 평가를 완료할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각 지역 및 입지환경별로 탄소흡수 효과가 높은 식물 정보를 파악할 계획입니다. 이처럼 정부는 탄소중립과 생물다양성 보호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마치며

이번 발표는 우리에게 자연의 소중함을 다시금 일깨워줍니다. 자생수목의 탄소흡수 효과를 통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식목일을 맞아 이번 자생수목을 심고 함께 자연을 가꾸는 실천이 필요합니다. 작은 실천이 모여서 큰 변화를 이루는 것, 바로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