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의 의미

평화의 물결을 기리며

제주에서 의미 있는 행사가 곧 다가옵니다. 바로 제77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입니다. 이 추념식은 많은 유족과 도민, 정부 인사들이 참석하여 희생자들을 기리는 자리입니다. 올해는 4월 3일 오전 10시 제주4·3평화공원에서 열리며, 2만 명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3 희생자 추념식의 역사

제주 4·3 희생자 추념일은 2014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후 매년 4월 3일에 이 날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고 있습니다. 올해의 추념식 주제는, "4·3의 숨결은 역사로, 평화의 물결은 세계로!"입니다. 이는 제주인들의 정신과 평화에 대한 염원을 전 세계에 알리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유사한 아픔을 겪은 세계인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전하고자 하는 취지가 두드러집니다.

추념식의 구성

이번 추념식은 여러 단계로 진행됩니다. 오전 10시부터 시작되는 묵념으로 첫 발을 내딛습니다. 이어 헌화와 분향, 추념사, 평화의 시 낭송, 유족의 사연 공유, 그리고 추모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평화의 종'이 3D 영상으로 구현되어 7회의 타종으로 시작된다는 점입니다. 이는 4·3의 77주년을 기념하며 마련된 특별한 기획입니다.

도민의 성숙한 참여

추념식 당일, 오전 10시부터 1분 간 제주도 전역에 묵념 사이렌이 울려 퍼질 예정입니다. 이는 참석하지 못하는 분들도 함께 희생자들을 기억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제주4·3문화해설사 홍춘호 씨가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제주 4·3의 역사와 명예회복, 평화의 섬 선포 20주년 등의 활동을 영상으로 소개합니다.

특별한 가족의 사연

유족의 사연으로는 특별히 김경현 씨와 그의 딸 김해나 양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70년 만에 만난 가족의 이야기를 나눕니다. 김경현 씨의 아버지 고(故) 김희숙 씨의 유해를 유전자 감식으로 찾으며 3대가 만나는 감동적인 순간을 맞이한 것이죠. 이러한 개인적인 이야기는 4·3의 아픔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마치며

이번 제77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은 단순한 추모의 자리를 넘어 평화와 화합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과거의 아픔을 잊지 않고, 이를 통해 더욱 나은 미래를 다짐하는 순간이에요. 이러한 기억들을 되살리며 소중한 가치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 뜻깊은 행사에 함께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