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A 노선의 변화와 성과
GTX-A 노선이 개통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이 기념비적인 사건은 수도권의 교통 체계를 확 바꿔놓은 중요한 이정표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일상에서 이용하시면서 변화를 체감하고 계실 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GTX-A 노선의 운영성과 및 이용 현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년 동안 급증한 이용객
GTX-A 노선의 수서∼동탄 구간은 개통 후 1년 동안 410만 명이 넘는 주민들이 이용했습니다. 특히 이 노선의 이용객은 개통 초기 약 7,700명이었던 평일 일평균 이용객이 현재 1만 6171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예측대비 75.1%에 해당합니다.
반면, 운정중앙∼서울역 구간도 인상적인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개통 3개월 만에 360만 명이 넘는 이용객이 이 구간을 찾았고, 최근에는 일평균 3만 9321명에 달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 구간의 이용객은 91.1%로 예측치를 초과하며, 수도권 통행량의 한 축을 견고히 하고 있습니다.
출퇴근 시간 단축의 효과
GTX-A 노선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출퇴근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파주와 서울역 간의 이동 시간은 평균 46분에서 66분 정도 걸렸으나, GTX-A를 이용하면 22분으로 줄어듭니다. 수서와 동탄 간 이동도 광역버스 이용 시 75분이 소요됐으나, GTX-A를 타면 21분으로 단축됩니다. 이런 시간적 이점은 많은 이용객을 모으는 주된 요인이 되었습니다.
어떤 노선이 가장 많은 이용자를 끌었나?
지난 1년 동안 일평균 가장 많은 이용객을 기록한 구간은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으로, 그 뒤를 이어 킨텍스∼서울역이 있었습니다. 두 구간이 전체 이용객 수의 39.1%를 차지하고 있으며, 출퇴근 수요 뿐만 아니라 주말 여가 활동에서도 많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킨텍스에서는 주요 행사일에 이용자가 대폭 증가하여 GTX 노선이 지역의 활력에도 기여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용객의 시간대와 주간 패턴
이용객들이 언제 GTX-A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지 살펴보면, 평일에는 출퇴근 시간인 오전 7시∼9시와 오후 5시∼7시에 이용량이 가장 높았습니다. 주말에는 오후 3시∼6시에 방문하는 이용객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금요일의 이용객 비율이 16.4%로 가장 높고, 일요일은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승객 편의를 위한 지속적인 개선
GTX-A 노선은 개통 한 해 동안 승객 편의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왔습니다. 열차 운행 횟수를 증가시키고, 각 역의 출입구를 확장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수서∼동탄 구간의 배차간격은 기존 10분에서 6.25분으로 줄어들었으며, 동탄역과 연신내역에서도 새로운 출입구를 추가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GTX-A 노선은 지난 1년 동안 278만 기자의 안전운행을 확보하며 무사고 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서울역과 같은 주요 역사에는 안전요원을 집중 배치하여 승객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GTX-A 노선의 출범은 수도권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완공되지 않은 구간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노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교통 체계의 변화를 체감하고 있는 시민으로서, 긍정적인 변화가 지속되길 바라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