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동물 찻길 사고를 예방하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환경부는 이 시스템을 경기 양평과 강원 평창의 국도에 설치하고, 오는 9일부터 시범 운행에 들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이제 운전자는 실시간으로 야생 동물의 출현을 미리 알림받을 수 있어 사고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동물 찻길 사고 예방 시스템
이 시스템은 영상 인식 AI 기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CCTV와 라이다 센서를 통해 동물의 출현을 감지하고, 그 정보를 150m 전방의 LED 전광판에 전송합니다. 이렇게 하면 운전자는 '전방 150m 이내 야생 동물 출현'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단순한 경고를 넘어서, AI가 야생 동물의 출현 패턴을 학습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둡니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라 AI는 출현하는 동물의 종류와 시간대 같은 정보를 축적하여 더욱 정확한 경고를 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이 시스템의 도입은 단순히 교통사고 예방에 그치지 않고,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며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는 데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운전자는 동물 출현을 사전에 인지하고 속도를 조절하는 등의 행동으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민관 협업 사례
이 프로젝트는 환경부와 포스코디엑스,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이 협력하여 진행되었습니다. 지난해 7월 이들 기관은 동물 찻길 사고 예방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고, 이후 양평군과 평창군에서 사고가 빈번한 도로를 선정하여 설치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환경부는 전체 사업을 총괄하면서 행정적인 지원을 제공했으며, 포스코디엑스는 시스템 개발과 설치를, 국립공원공단과 국립생태원은 사업 구간 선정 및 효과성 평가 등을 맡아 기술적 지원을 하였습니다.
이런 방식의 협업은 정부와 기업, 그리고 연구기관이 힘을 합쳐 보다 효과적이고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좋은 사례로 여겨집니다. 이를 통해 모든 참여자가 동물 찻길 사고 저감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활동할 수 있다는 점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향후 계획
환경부는 향후 2027년까지 추가로 횡성, 남원 등 동물 찻길 사고가 잦은 도로 3곳에 대해서도 이 시스템을 설치할 예정입니다. 이 시스템의 효과를 분석하여, 향후 더 넓은 범위로 확대 적용할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마치며
이번 AI 기반 동물 찻길 사고 예방 시스템의 도입은 우리의 안전과 생물 다양성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발전입니다. 앞으로도 이런 혁신적 기술과 정책이 함께 어우러져 보다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교통환경을 만들어가길 바랍니다. 우리 모두가 작은 변화에 동참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야생 생물을 보호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